Visual Studio 2013을 실행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보면 변수, 함수등이 한눈에 들어오지도 않고 다소 밋밋한 화면에 실망을 한다. 이럴때는 변수 함수등을 표시하는 색을 변경해서 눈에 띄게 만들어보자.


'도구 -> 옵션'을 선택하고 들어가자.


글꼴 및 색 지정에 각각의 변수,함수,매크로등의 색을 지정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 그러나 저 많은 것들을 아름답게 잘 색 분배를 할 수 있기는 너무나 힘들다. 나같은 사람을 위해 누군가 미리 만들어놓은 셋팅값들이 있지않을까?


여기 있다. http://studiostyl.es/ 

내가 일일이 색지정을 하지않아도 많은 사람들이 자신만의 개성으로 지정해놓은 테마 색들이 엄청나게 많다.


클릭을 하고 들어가면 스타일을 미리 볼 수 있게 되어있다. 적용을 해보고 싶다면 'Download this scheme'를 눌러 파일을 다운로드 받자.


Visual Studio 2013에 적용하기위해 ' 도구 -> 설정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 '를 선택한다.


다운로드한 파일을 적용하기 위한것이니 ' 선택한 환경 설정 가져오기 '를 고르고 다음을 누른다.


밋밋한 초기화면 설정을 저장해 놓을 필요는 없다. ' 아니요, 새 설정을 가져와 현재 설정을 덮어씁니다. '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른다.


' 찾아보기 '를 누르고, 아까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선택하자.


최근에 사용한 파일에 선택한 파일 셋팅이 표시가 될 것이다. 다음을 누르자.


가져올 설정을 선택하는 것인데 그냥 마침을 누르면 된다.


설정을 가져왔다고 알려준다. 닫기를 누르고 빠져나와서 보면


변수, 함수, 배경색등이 변경되어 있는 것을 볼수있다. http://studiostyl.es/ 에 엄청나게 많은 테마들이 있으니 하나하나 다운받아서 설치해보며 마음에 드는 설정을 찾기 바란다. 

난 내 마음에 드는거 찾는데 3시간 정도 걸렸다. 하루 8시간 이상을 바라볼 화면인데 그정도는 해 줘야 되지 않을까? ㅠㅠ


Posted by 둔한늑대
,

유선LAN을 연결하고 고정IP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역시 구글느님의 도움을 받아서 셋팅을 해 보았다. 


1. 관리자로 들어가기

터미널 띄우는건 이제 알테고, 터미널창에서 'sudo -i'를 입력하고 관리자모드(?)로 들어가자. 아래그림처럼 된다면 성공 한 것이다. 틀릴 이유도 없음


2. /etc/network 디렉토리의 interfaces 파일 수정하기

'cd /etc/network' 입력하면 /etc/network 디렉토리로 들어간다. 리눅스나 MS-DOS를 사용해본 사람이라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 "cd 디렉토리명"이 디렉토리 왔다갔다 하는 명령어(?) 이다.

'ls'를 입력하면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명, 하위디렉토리명이 나타난다. 우리가 수정할 파일은 interfaces라는 파일이다.


vi interfaces를 입력한다. vi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편집기로 일종의 메모장이라 생각하면 된다. 학교시절 유닉스 수업을 들으며 vi편집기를 사용한 관계로 vi가 기억나 쓰지만, 다른 편집기를 안다면 그것을 쓰기 바란다. vi 어렵다. 기억도 안난다. ㅠㅠ


위와 같은 화면이 뜰것이다. 이제 이 파일을 수정해 보자.

키보드의 화살표로 수정하고싶은 위치에 가서 'i'를 누르고나면 커서가 있는 위치에서 텍스트가 입력되고, 'a'를 누르고나면 커서 다음위치부터 텍스트가 입력될 것이다.


위의 그림을 보자면 수정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존 내용

auto eth0

allow-hotplug erh0

iface eth0 init manual

이부분을 아래와 같이 (위의 그림처럼) 수정한다.

auto eth0

allow-hotplug eth0

#iface eth0 inet manual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00.100.100.100

network 100.100.100.0

netmask 255.255.255.0

gateway 100.100.100.1

broadcast 164.100.100.2

빨간색 글자가 추가된 것으로 다른 것은 똑같이 치고, 숫자들만 자신에게 맞게 수정해주면 된다.

address 100.100.100.100 <- 100.100.100.100을 자신이 쓸 IP주소로 변경

network 100.100.100.0 <- address에 쓴 IP주소의 끝자리를 0으로만 변경

netmask 255.255.255.0 <- Windows의 Subnet Mask이다.

gateway 100.100.100.1 <- 말그대로 게이트웨이 이다.

broadcast 164.100.100.2 <- DNS 서버 이다.


작성이 끝났으면 "ESC키"를 누르고 ":wq!"를 입력하자. 저장하고 편집기를 빠져나가는 명령어이다.


2. /etc 디렉토리의 resolvconf.conf 파일 수정하기

'cd /etc'를 입력해서 /etc 디렉토리로 들어가자.

'ls -al | more'를 입력해 보자.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명, 하위디렉토리명이 Page단위로 보여질 것이다. 스페이스키를 누르면 다음페이지로 넘어간다. 


우리가 수정해야할 resolvconf.conf 파일이 보인다.


역시나 vi편집기를 사용할 것이다. 'vi resolvconf.conf'를 입력하자.

위의 모습이 보일 것이다.


위의 그림과 같이 숫자 수정할 필요없이 그대로 입력한다. 아까 설명했듯이 화살표 키보드로 이동 'i'또는 'a'를 누르고나서 입력하면 입력이 된다. 입력할 내용은

name_servers=168.126.63.1

name_servers=168.126.63.2

2줄이다.


다 입력했으면, "ESC키" 누르고 ":wq!"를 입력하자. 저장하고 나간다.

"reboot"을 입력해서, 라즈베리파이를 리붓팅하고나면 끝!


무지 느리지만 인터넷이 된다. 프하하하~


다음시간에는 진짜진짜 딴거 안하고 무선랜카드 잡기... ㅠㅠ


Posted by 둔한늑대
,

키보드 설정을 안하고 셋팅을 하다보면 !@#$%등의 Shift키를 누르고 입력하는 것들이 입력이 안된다.

괜히 나처럼 나중에 삽질하지말고, 키보드 셋팅부터하고 라즈베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나야 원래 좌충우돌 라즈베리파이 삽질기를 올리는 것이기에..... ㅠㅠ

아~ 혹시 패스워드를 !@#$%등이 들어가는 것으로 설정해 놓은 상태라면, 필히 !@#$%등이 들어가지 않게 패스워드를 변경하고 키보드 셋팅을 바란다.


이제 raspi-config를 띄우는 법을 알테니, 그림으로 설명을 넘어가겠다. 모르겠다면, 2.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초기 설정 - raspi-config) 을 읽어보기 바란다.

sudo raspi-config를 입력하면 아래의 화면이 뜬다.


키보드 셋팅은 어디? 4번 Internationalisation Options를 선택한다. 이후 설명은 그림위주~


3번 Change Keyboard Layout 선택


Generic 105-key (Intl) PC 선택


Other 선택


Korean 선택


Korean - Korean (101/104 Key compatible) 선택


The default for the keyboard layout 선택


No compose Key 선택


Yes


키보드 셋팅 하기편 끝!



Posted by 둔한늑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