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굴러다니는 맥북프로(late 2011)가 너무 느려터졌다. 새거를 사자니 너무 비싸고, 그렇다고 그대로 쓰기엔 너무 답답해서 업그레이드를 해 보았다.

기본사양인 4G메모리 500G 하드에서, 8G메모리에 480G SSD로 교체를 했다.

메모리는 사전에 미리 맥북을 뜯어보고 동일한 스펙의 메모리를 사야한다. 이놈이 은근 가려서 인식이 안될 수도 있다. 난 2G 10600s 2개가 달려있어서, 중고나라에서 4G 10600s 2개를 5만원에 구입했다. 너무 비싸다. ㅠㅠ

SSD는 아마존을 뒤져서 130달러에 구입~ 이름도 모르는 업체지만... 고장나면 버리지머... ㅎㅎㅎ


1. 맥북프로를 한번 뜯어보자

뒤집어보면 나사가 겁나 많다. 무려 10군데를 풀어야 한다. 시계도라이바 같은 +자 작은거로 돌리고 돌리고~~~

빨간부분은 긴나사 나머지는 짧은 나사다.


나같이 머리 나쁜 사람은 안헤깔리게 나온 그대로 배치를 해놔야 다시 조립할때 안 헤깔린다. 저렇게 긴나사 3개와 짧은나사 7개가 나온다. 다 풀었으면 과감히 뜯어~보자.


이렇게 생겨먹었다. 사진기준 왼쪽위에 하얀부분이 CD-RW, 가운데 오른쪽 녹색이 메모리, 왼쪽 아래가 하드디스크, 그옆에 검은게 밧데리 되시겠다.


작업전에 밧데리는 뽑아놓자. 정말정말 재수없으면 중고로 팔지도 못한다. 그런경우 당해 본적은 없지만... 그래도 안전이 우선아니겠는가.


2. 메모리 업그레이드 하기

메모리카드를 보면 양쪽 끝에 막대가 붙들고 있다. 바깥쪽으로 동시에 밀면 팅~~ 하고 메모리카드가 튕겨 올라온다. 그럼 뽑으면 된다. 그 밑에도 있다. 2개다 뽑자.


빈자리가 이렇게 생겼다. 괜히 한번 손으로 쓱~ 닦아주고 메모리를 뽑을떄의 역순으로 꼽아주면 들어간다. 


3. SSD로 교체하기

하드디스크와 CD-RW사이에 보면 까만색 막대에 나사 2개가 박혀있다. 그걸 풀면 하드를 꺼낼 수 있다.


살살 꺼내자. 케이블이 참 잘 뜯어지게 생겼다. 뜯어보지는 않았다. 


하드 옆을 보면 4개의 나사가 보인다. 별도라이바가 필요하다. 집에서 잘 쓰도 않는 별도라이바. 4개다 풀고, 케이블도 빼자.


SSD도 역시나 하드디스크를 뜯을때의 역순으로 조립을 하면 조립이 된다. 밥하는거 보다 쉽다.


4. OS 깔기

이제 OS를 깔아야지. 전원버튼을 누르고 option키를 누르고 있으면 이런 화면이 뜬다.

여기서 무선네트워크를 선택하고 Internet Recovery를 선택하자.


이렇게 로딩되는 화면이 뜬다. 3~4분정도 기다리자.


이제 이 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서 일단 SSD를 인식부터 시켜야 한다. "디스크 유틸리티" 메뉴로 들어가자.


저렇게 교체한 SSD가 딱! 나타난다. 안 나타나면 다시 뜯어서 다시 달아보기를..... ㅠㅠ


SSD를 클릭하고 "지우기" 다음~다음.... 그냥 다음~다음.... 이전 메뉴로 돌아가자


이제 Mac OS를 설치해야지. "Mac OS 다시 설치"를 선택한다.


계속~ 다음~ 다음~ 귀찮으니 다음~ 다음~


설치할 디스크 선택. SSD 하나밖에 없는데.... 다음~~ 다음~~~~~ 그냥 다음~~~~~~


설치를 시작한다.


'Programming > App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VMware에 Mac OS 설치하기 #2  (0) 2015.11.09
0. VMware에 Mac OS 설치하기 #1  (0) 2015.11.06
Posted by 둔한늑대
,

폴더구성과 사용자 계정을 만들었으면 이제 FTP서버를 구성해서 사용을 해 보자


서비스 -> FTP를 선택하면 나오는 화면이다. 여기서 활성화를 체크한다.


FTP서버에서 사용할 폴더를 추가해주어야 한다. 이전시간에 공유폴더만드는건 정말 단순히 폴더 만든거다. 그 폴더들 중에서 FTP에서 사용할 것들을 여기 추가하는 것이다. 공유탭 -> 추가를 누른다.


이 화면이 뜬다. 여기서 공유할 폴더를 선택하고 저장을 누르면 된다.


잠시 기다리면 설정이 변경되었다는 안내가 뜬다. 이때 적용을 눌러야 공유폴더가 적용된다.


이제 FTP에서 사용할 폴더를 정했으면 각폴더별 사용가능한 계정을 선택하자. 접근권한관리 -> 사용자를 선택하고 계정을 선택하면 권한이라는 버튼이 활성화 된다. 권한버튼을 누르자.


폴더별 읽기/쓰기 권한을 체크하고 저장을 누르자.


또 잠시뒤에 설정을 적용하라고 뜬다. 적용을 누르면 된다.


이것으로 FTP서버 구성은 끝이다. FTP에서 사용할 폴더를 지정하고, 계정별 폴더권한을 주면 간단히 끝나는 것이다.

이제 FTP프로그램으로 접속을 해 보자.


이렇게 공유한 폴더가 나타난다. 이제 FTP는 쓰면 된다.



Posted by 둔한늑대
,

이제 NAS를 사용할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보자


현재 만들어져 있는 디렉토리 들이다. 난 여기서 Users 디렉토리 하위에 각 계정용 디렉토리를 만들어줄 예정이다. 현재 디렉토리 안에는 아무 것도 없다.


사용자 -> 추가 를 선택하자.


이와같은 창이 뜬다. 여기서 이름, 암호, 암호확인을 입력하고 저장을 누른다.


새로운 사용자가 리스트에 나타나며 설정이 변경되었으니 적용하기전에는 반영안된다고 나타난다. 적용을 선택하자.


사용자계정용 디렉토리를 지정해 줘야 한다. 설정 -> 활성화 체크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지정해 주면 된다. 난 Users 디렉토리를 사용할 것이기에 그것을 선택.


Users 디렉토이안에 새로 생성한 사용자명의 디렉토리가 만들어진것을 볼 수 있다.


이제... 다음시간에 계정별 디렉토리 접근권한을 줘보고, FTP로 접속을 해 보자.



Posted by 둔한늑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