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OpenMediaVault로 접속을해서 각종 셋팅을 시작해보자.

원격접속을위해 네이버등에서 Putty를 다운로드 받고 시작하자.

메뉴가 한글로 뜬다고 디렉토리 파일명등을 한글로 하지말자. 무조건 영어로 하자. 아래 설명에 한글로 내가 입력한게 보여도 무조건 영어로 하자. 나 한글로 했다가 정말 피보고 원복시킨다고 고생했다. ㅠㅠ


1. 웹으로 OpenMediaVault 접속하기

웹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주소창에 이전에 셋팅한 DDNS주소나 IP를 입력하고 조금 기다리면 위와같은 화면이 뜬다. 언어는 한국어로 바꾸고, 사용자이름은 admin 비밀번호는 이전에 셋팅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런 화면이 뜬다면 정상적으로 접속을 한 것이다.


2. Putty로 원격접속하기.

웹에서 OpenMediaVault로 셋팅시 정상적으로 셋팅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터미널창으로 접속해놓고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Putty라는 프로그램이다. Host Name부분에 도메인네임이나 IP주소를 치고 Open을 클릭한다.


잠시 기다리면 딱 저 한줄 뜬다. root -> 엔터... 잠시뒤 비밀번호를 물으면 이전에 설정한 root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3. HDD 마운트하기.

외장하드를 라즈베리파이에 꼽는다고 바로 인식이 되는것은 아니다. 마운트 라는 것을 해 주어야 한다.

먼저 OpenMediaVault에서 확인을 하자면...


저장소 -> 파일시스템에 보면 해당없음이라는 HDD가 보일것이다. 



해당 HDD를 클릭하고 마운트 -> 설정 을 누르면 한참 혼자 뭣짓을 하다가 위와 같이 사용가능 용량과 사용된 용량이 표시된다. 이렇게 되면 정상적으로 라즈베리파이와 HDD가 연결이 되고 인식된 것이다.


터미널창(Putty)에서 확인하는 방법은..... 

df -h 를 입력해보면 내 HDD와 동일한 용량의 무엇인가가 Mount되었는지 아닌지 볼수 있다. 위의 사진은 마운트 되지않은 상황이다. 


OpenMediaVault에서 마운트를 하고 나면 새로운 녀석이 나타났다. 

/dev/sda2 -> OpenMediaVault에 보이는 장치 와 똑같은 이름이다. 이녀석이 새로 추가한 HDD이다.

2.8T -> 전체용량이다

174M -> 현재 사용량이다.

2.8T -> 남은 용량이다.

/media/6E423......... -> 윈도우에서는 C드라이브 D드라이브 형태로 HDD에 접근을 하는데, 여기선 저 디렉토리명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각자의 시스템마다 이름은 틀릴것이다.


4. 공유폴더. 디렉토리 만들기

이제 NAS에서 사용할 공유폴더를 만들어보자.

접근권한관리 -> 공유폴더를 선택하고 추가 를 누른다.


이런 창이 뜰것이다.

이름 -> 공유폴더의 이름이다. 내가 이해하기 쉬운 이름을 적으면 된다. 무조건 영어로 할것! 한글로 했다가 개 피봄.

볼륨 -> 폴더를 만들 HDD를 선택한다.

경로 -> 폴더경로이다.

권한 -> 폴더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지정한다.


경로 선택



폴더명 지정... 새로 생성시 직접 쳐서 넣어야 한다.


이런식으로 폴더가 만들어졌다고 표시된다. 그럼 실제로 표시 되었는지 직접 확인을 해 보자.


OpenMediaVault에서 공유폴더를 만들기전 화면이다.

cd /media/6E423........... 각자의 시스템마다 이 이름은 틀리다. 저렇게 입력하면 해당HDD로 들어갔다고 표현하면 될것 같다.

ls 를 입력하면 아무것도 뜨지않는다. 어떤 디렉토리도 존재하지 않는 텅텅빈 HDD이다.

OpenMediaVault 에서 공유폴더를 만들고나서 다시 ls 를 입력해본다.



아까 만든 Music 디렉토리가 보인다. 


이런식으로 OpenMediaVault에 웹으로 접속을해서 디렉토리를 생성하면 된다. 일일이 mkdir, chmod등의 명령어를 칠 필요없이 간단히 폴더 생성이 가능하니 편하고 좋다. 근데.... 내가 아직 기능을 못 찾은건지 폴더삭제가 안된다. 좀더 연구를 해 봐야겠다. ㅎㅎㅎㅎㅎ


다음시간에는 사용자를 추가해보자..










Posted by 둔한늑대
,

라즈베리파이를 유선으로 연결하고 고정IP주는 방법은 지난 글에 설명되어있다.

http://dullwolf.tistory.com/18 이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그런데, 나는..... 어쩔수 없는 사정으로 무선으로 연결을 해야 한다. ㅠㅠ

역시나 서랍장 다 뒤져서 무선공유기 하나 찾아냈다. ipTIME에서 나온 N100mini.

라즈베리파이에 꼽아서 부팅을 시켜봤다.


어라. 드라이버필요없이 자동으로 잡힌다. ifconfig 입력하고 보면 wlan0이 무선랜 이다.

아싸~ 재수~ 그럼 바로 고정IP셋팅을 시작해보자.


vi /etc/network/interfaces를 입력하자. root 계정이 아니라면 sudo vi /etc/network/interfaces를 입력해야 된다. 참고로 나는 vi편집기밖에 쓸줄 모른다. 다른 편집기 쓸줄 알면 다른 편집기로 해당파일 열기 바란다.


대충 이런 모습이 보일 것이다. 


우리는 무선랜 설정을 할 것이기에... 좀 쳐 넣어야 할 것이 많다.

화살표키로 제일밑으로 이동 i를 누르면 텍스트 입력이 가능해진다. 아래의 내용을 쳐 넣기 바란다.

auto wlan0

allow-hotplug wlan0

iface wlan0 inet static

wpa-ssid "공유기이름"

wpa-psk "공유기비밀번호"

address 고정IP주소

network 고정IP주소에서 마지막자리 숫자를 0으로

netmask SubNetMask 주소

gateway 게이트웨이 주소

broadcast DNS주소

빨간색부분은 각자의 환경에 맞게 적용하면 된다. 헤깔리면 위의 사진과 비교해서 보면 금방 이해가 될 것이다.

이렇게 하면 무선랜 고정IP셋팅은 끝! 이제 공유기 설정을 해보자.


ipTIME N704BCM기준이다. ipTIME은 다들 동일한 UI가 아닐까 생각한다.

우선 라즈베리파이의 IP가 잘 잡히는지 보자. "내부 네트워크 정보"에 들어가면 사용중인 IP정보가 나온다. 정상적으로 잡혀있다. 


다음은 포트포워드 설절을 해준다. 이것을 해주면 외부에서 접속시 특정 포트는 무조건 라즈베리파이로 접속이 되게 할 수 있다. NAS로 쓸것이기에 FTP와 http 포트는 기본으로 설정해주자.

정의된 리스트에서 FTP, http등을 선택하고, 내부 IP주소에 라즈베리파이의 IP를 입력하고 추가를 누르면 등록이 된다.

사진에는 없지만 DDNS로 설정을 해 줘서 도메인네임으로 바로 들어올 수 있게 처리해주면 공유기 설정도 끝!


다음시간부터는 OpenMediaVault 삽질을 시작해보자.


여기까지 작업을하고 자고 다음날 일어나서 라즈베리파이로 Ping을 날리니 응답이 없다. 알고보니 N100mini는 사용안하면 Sleep모드로 빠진단다. 니가 왜 자니? 이녀석이 하루종일 깨어있게 만들자. 그래야 NAS지.


vi /etc/modprobe.d/8192cu.conf 를 입력하자. 이제 root계정이 아니면 sudo를 앞에 붙여야 되는 것은 다들 알거라 생각하고 넘어간다.


vi편집기에서 텍스트 입력할려면 해당위치로 이동해서 i를 누르면 된다는 것도 이제 알죠?

i를 누르고 다음내용을 입력하자

options 8192cu rtw_power_mgnt=0 rtw_enusbss=0


저장하고 나가는건 ESC키 누르고 ":wq!" 입력하면 되는것도 알쥬?


이제 무선랜 설정도 끝!




Posted by 둔한늑대
,

처음 목표였던 라즈베리파이로 NAS만들기를 시작해보자.

NAS를 만들기 위해서는 NAS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것저것 알아보다 OpenMediaVault에 꼽히게 되어서, NAS용으로 선택하게 되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라즈베리용 OS로 라즈비안을 깔아서 삽질을 하고 있었는데, 다 필요없게 되었다.

OpenMediaVault 사이트에가면 라즈비안OS에 OpenMediaVault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올려놓고 있다.

프로그램을 구해서 다운로드를 하고 설치를하고 할 필요를 없애버린 것이다. ㅠㅠ


http://www.openmediavault.org/ 로 들어가자.

상단메뉴의 Download를 선택한다.


영어로 쏼라쏼라 되어있지만, 가볍게 무시를 때려주고 ISO 밑에줄에 약간 다른색깔의 here를 클릭하자.


스크롤을 내려보면 Raspberry용 이미지가 보인다. Raspberry Pi images를 클릭하자.


오늘기준(2015/07/23)으로 2.0.15버전이 있다. 클릭해서 다운로드 하자. 다운로드가 끝나면 압축은 풀어주는 센스~


OpenMediaVault 이미지를 굽기위한 프로그램은 http://sourceforge.net/projects/win32diskimager/

여기에 있다. 다운로드 받아서 PC에 깔자.


Win32DiskImager를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자. 그냥하니 안되더라.


Image File은 아까 OpenMediaVault사이트에서 받아 압축푼 파일로 선택하고, Device는 MicroSD카드가 들어있는 드라이브를 선택, Write를 누르고 다음~ OS이미지가 SD카드로 Copy될 것이다.


Micro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꼽고 전원을 넣어주면, 부팅이 된다. 쭉쭉쭉~~ 모르는 글자들 겁나 뜬다.


login하라는 이 화면이 뜨면 여기까지 성공한 것!

초기아이디는 root / 비밀번호는 openmediavault 이다. 


로그인에 성공했다면 제일먼저 할일은 비밀번호 바꾸기. passwd root를 입력해서 root 아이디의 비밀번호를 변경하자. 비밀번호는 특수문자(!@#$%) 넣지말고 영문+숫자로만 구성해줄것! 안그럼 나중에 피본다. ㅠㅠ


이런 글자를 보게된다면 비밀번호 변경에 성공.


또 있다. admin 계정. 이녀석도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자. passwd admin을 입력하고 비밀번호 변경. 비밀번호는 특수문자(!@#$%) 넣지말고 영문+숫자로만 구성해줄것!

여기서 끝이아님... 계정이 또 하나 있다.... pi 계정... 이녀석도 비밀번호 변경하기 바란다. passwd pi


이제 OS 기본셋팅을 해야겠지. raspi-config를 입력하고 셋팅하는 곳으로 들어가자.

이후 설명은 몇일전에 내가 작성한 http://dullwolf.tistory.com/16 이글을 참조하기 바란다. 

아~ 그전에 키보드 설정부터 먼저해야한다. http://dullwolf.tistory.com/17 이게 최우선이다.

키보드 셋팅이 끝난 이후에 비밀번호변경시 특수문자를 넣어도 된다.


다음시간은 무선랜 설정, 고정IP, 공유기 설정을 해 보자~



Posted by 둔한늑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