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HDMI모니터가 없는 불쌍한 인생이라, 지난시간에 OS만 깔고 Raspberry Pi를 켜보지도 못했다.

출근준비를 하다보니 집에 TV가 HDMI가 된다는 것을 생각해내고 TV에 연결을 해 보았다.


오~~~ 잘된다. NAS만들고나면, 라즈베리파이를 하나더 사서 디빅플레이어도 만들어봐야겠다.

혼자 열심히 글자를 올리더니 raspi-config라는 화면이 나타난다.


저걸 일일이 눌러보지 않는이상 내가 어떻게 다 이해하리오. 그러기도 솔직히 귀찮다. 이럴때는 구글느님이 모든 것을 해결해 주실것이니...... 검색검색..

OS셋팅화면인건 뻔하고... 당장 필요한 것들만 셋팅해 보자.


1. Language(언어) / Timezone(기본시간대) 설정하기

위의 화면에서 4번을 선택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온다.

1번이 Language선택, 2번이 Timezone 선택 하는 것이다.

1번을 선택하고 조금 기다리면 a,b,c순으로 정렬된 아래의 화면이 나온다. 기다리자. 바로 안 뜬다. 괜히 나처럼 Enter 막 눌러서 이상하게 만들지말고, 기다려라!

여기서 스크롤을 쭉!! 내려서 'ko_KR.UTF-8 UTF-8' 을 선택하면 된다. 

근데 한글로 안 바뀐다. ㅎㅎㅎㅎ~ 이건 구글느님을 좀더 뒤져봐야겠다.


Timezone은 선택하면 처음에 이렇게 뜬다.

여기서 Asia를 선택하면

이렇게 뜨고, 여기서 Seoul을 선택하면 된다.


2. Desktop (GUI) 화면으로 Boot 하기

우리는 Windows화면이 익숙하기에, 옛날 MS-DOS같은 Text화면은 마음에 안든다. Booting시 GUI화면으로 뜨게 바꾸자. 3번을 선택하고

 

Desktop Log 어쩌고 저쩌고를 선택하면 된다.

이제 기본셋팅은 끝! Finish로 빠져나오고 재부팅..


짜잔~ 아까 Boot시 Desktop을 선택해서 이런 화면이 뜬다. 깔끔하니 이쁘다.. ㅎㅎㅎ~


아차~! 비밀번호를 설정안해줬다... 아까 그 raspi-config에 password설정이 있던거 같은데... 그쪽으로 어떻게 가지... 구글느님 도와줘요....


3. Raspi-config화면 띄우기

파란색 화살표~ 빨간색 동그라미 모니터 모양을 클릭하자. 그럼 그림 우측 아래와같이 Text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뜬다. 여기에 "sudo raspi-config"를 입력하고 엔터!


다시보니 반갑다. 여기서 2번 Change User Password를 선택한다.


Password 입력, 확인입력 하고나면


Password 변경에 성공했다. 


여기까지 초기셋팅이다. 

다음 시간에는 집에서 굴러다니는 무선랜카드를 꼽아서 네트웍을 잡아보는 시간을 가져야겠다.... 


Posted by 둔한늑대
,

다음클라우드가 사라진다는 소식에, 자료를 어떻게 하나 고민하다가 NAS를 구입하려고 알아봤다.

HDD는 무시하고, 순수하게 NAS만의 가격이 20만원대 라는 것에 충격을 먹었다.

결국 나스 구입은 포기하고, 지인과 이런저런 이야기도중 이녀석을 소개 받았다. 

이녀석으로 NAS를 구성하리! 이제부터 맨땅에 헤딩을 시작해 보련다...



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 

영국에서 기초컴퓨터교육을 위해 만든 컴퓨터란다. 가격도 3만원중반대.... 오오오~~ 이녀석이야! 라는 생각으로 일단 지르고, 오늘 택배로 받았다.


컴퓨터라면 당연히 OS가 올라가야지. 근데 저장장치가 없네. 서랍장 뒤지고 뒤져서 8기가 MicroSD카드를 하나 찾았다. 근데 OS는 또 어디서 구하지? 구글검색하니 다 나온다. 구글님 사랑해요~


OS다운받기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

여기가면 이런 화면이 보인다. 

Download ZIP을 누르니 다운로드가 시작된다. 오늘기준(2015/07/18)으로 990MB다. 파일명이 2015-05-05로 시작하는 걸 봐서는 2015년 5월 5일이 최신버전 OS인가보다. 언제 다운 다 받지... ㅎㅎㅎ

다운은 걸었고, OS는 어떻게 집어넣지? 구글님 짱!


OS이미지를 SD카드에 넣어줄 프로그램 다운로드 받기

http://sourceforge.net/projects/win32diskimager/


여기가면 "Win32 Disk Imager라는 놈이 있다. 이녀석이 SD카드에 OS를 구워줄 것이다~" 라고 구글님이 말씀하셔서 또 다운로드 한다. 오늘기준 용량은 11.7MB이다.

OS는 아직도 다운로드 받고 있는 중이다. 언제 끝나지............

다운로드에 30분이나 걸렸다. 이제 다운받은 raspbian OS는 압축을 풀고, Win32DiskImager 프로그램을 깔고 실행시키자.


마음에 안드는 화면이 나타났다. 마우스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관리자 권한으로 다시 실행을 하자.


이제 정상적으로 실행된 모습을 보게 되었다.


Image File에 아까 압축을 푼 raspbian을 선택하고, Device는 MicroSD카드 드라이브를 선택한다. 

이후 Write를 선택 -> yes를 누르면 SD카드에 OS가 천천히~~처~언천히 올라갈 것이다.


사실.... 집에 HDMI모니터가 없어서 여기까지밖에 못해봤다. ㅠㅠ

OS가 정상적으로 올라갔는지도 모르겠다... 모니터에 연결하는대로 다음단계로 쭈욱~~ 넘어가자.

오늘은 여기까지만.....  ㅠㅠ



Posted by 둔한늑대
,


다른 에디터들은 왼쪽에 줄번호가 보여서 내가 수정하는 곳이 몇라인인지, 디버깅시 여기가 어딘지 쉽게쉽게 파악이 가능하다. 그런데 Visual Studio 2013은 왜 옆에 줄번호가 안보일까?



1. 도구 -> 옵을 선택한다.



2. C/C++ -> 일반 -> 줄번호 를 체크 한다.



이제 줄 번호가 이렇게 보일 것이다. 그냥 Default로 해 놓지 왜 이랬을까.


Posted by 둔한늑대
,